유산소 운동이란?
유산소 운동이란, 걷기나 조깅, 에어로빅, 사이클링, 수영 등, 장시간 실시하는 운동을 말합니다. 이러한 운동은 운동 중에 근육을 수축시키기 위한 에너지 "아데노신삼인산(ATP)"을 체내의 당이나 지방이 산소와 함께 만들어내기 때문에 유산소 운동이라고 합니다. 식사로 섭취한 에너지원 중 글리코겐(탄수화물)은 주로 간이나 골격근에 저장되고 나머지는 중성지방으로 저장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운동 시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하고 그 과정에서 생산된 ATP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나 체내에 저장된 글리코겐양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글리코겐만으로는 장시간 운동을 계속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체지방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만드는 방법으로 전환합니다. 체지방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산소를 도입하면서 에너지원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반복합니다. 이것이 유산소 운동입니다. 체내에 저장된 체지방은 리파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유리지방산이라는 물질로 분해됩니다. 유리 지방산은 혈액으로 근육에 옮겨져 미토콘드리아에서 분해되어 ATP를 생산합니다. 체지방은 일정량 이상 체내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산소가 계속 공급되는 한 에너지를 계속 생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체지방을 분해하는 리파아제는 체온이 높아지면 활성화되기 때문에 운동으로 체온이 상승하고 혈류가 많아지면 점점 체지방을 연소하게 됩니다. 일단 체지방의 연소가 시작되면, 그 후에도 지방을 연소하기 쉬운 상태가 지속됩니다.
유산소 운동의 목적
유산소 운동은 체지방 연소 외에도 호흡기 순환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장시간 운동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산소가 필요하지만, 산소를 체내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심장과 폐의 작용이 중요해집니다. 심박수는 상한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산소를 혈류에 올려보내기 위해서는 심박출량을 많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심박출량의 증가를 위해서는 심근(심장 주위의 근육)의 근력 향상이 필요하며, 그것은 유산소 운동(지구력) 트레이닝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는 목적은, 체지방의 연소 외에도 지구력 향상에도 목적이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의 효과
체지방 중에서도 내장 지방은 건강에 다양한 악영향을 미칩니다. 내장 지방 자체에서 아디포사이토카인이라는 염증 물질이 분비되어 아디포사이토카인의 작용에 의해 고혈당, 지질 이상, 고혈압, 동맥 경화 등의 발병률이 올라갑니다. 유산소 운동은 체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연소하므로 내장 지방도 마찬가지로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내장 지방량이 감소함으로써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분비도 감소하기 때문에 고혈당, 지질 이상, 고혈압, 동맥경화의 예방·개선으로 이어집니다. 유산소 운동에는 다양한 생활습관병의 원인을 예방·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력이란? 면역력 높이는 방법 (0) | 2022.11.29 |
---|---|
근육의 종류와 특징 (0) | 2022.10.12 |
수면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양질의 수면을 취하는 방법 (0) | 2022.10.07 |
만성피로증후군 증상과 원인 , 피로함과의 차이 (0) | 2022.10.06 |
걷기 운동으로 얻어지는 효과 (0) | 2022.10.05 |
댓글